안녕하세요.
초보자들을 위해 주식 간단한 주식 용어를 준비했습니다.
상한가
주식시장에서 흔히 말하는 개별 종목의 주가가 일 별로 상승 할 수 있는 최고 가격을 상한가라고 말을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가의 급변으로 인한 혼란을 막기 위해서 24시간 동안 개별 종목의 주가가 오르고 내릴수 있는 한계를 정해 놓은 범위를 가격제한폭 이라고 합니다.
이 범위까지 오르거나 내려가는 것을 상한가, 하한가 라고 말합니다.
국내 주식시장은 2015년 6월 중순부터 기존 15%에서 30%의 제한 폭으로 변경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증소기업 전용 코넥스시장은 가격헤한폭이 유지하도록 운용되고 있습니다.
제3시장(장외 주식호가중개시스템)에서는 가격 제한폭이 없었으나 2002년 9월 말부터 상하 50%의 가격제한폭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가격 제한폭은 전일종가에 일정비율을 곱해서 산출하고 있으며 호가는 가격제한폭 범위내의 가격으로 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한가는 기준가격에 가격제한폭을 더한 가격을 말하고 있으며 일별로 하락할 수 있는 최저가격인 하한가는 기준 가격에서 가격제한폭을 뺀 가격을 말합니다.
상한가 굳히는 법
주가가 상한가거나 상한가 조짐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테마주를 선정하여 매도주문의 수십배에 달하는 매수주문을 상한가에 제출하여 시세를 교란 시키는 방식입니다.
테마주를 선정한 후에 매조주문의 2배에서 20배에 달하는 대규모 매수 주문을 상한가에 제출하여 시세를 조종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특정 세력이 호가상황을 압도하는 매주주문으로 한꺼번에 물량을 확보한 이후에는 미체결된 매수주문을 장 종료되기전까지 유지하거나 필요에 따라 추가 매수주문을 제출해서 강한 매수세가 유입되는 것으로 꾸며내서 개인 토자자들을 유인합니다.
그 이후에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상한가에 강한 매수세가 있는것으로 착하하여 추중매수에 나서게 됩니다. 그래서 주가가 치솟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상한가 굳히기를 하는 특정 세력은 다음날에 보유 주식을 모두 처분해서 차익을 챙기는 것입니다.
하한가
주식시장에서 흔히 말하는 개별 종목의 주가가 일 별로 하락 할 수 있는 최저 가격을 하한가라고 말을 합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주가의 급변으로 인하여 혼란을 막기위해서 하루종안에 개별 종목의 주가가 오르고 내릴수 있는 한계를 정해서 놓은 범위를 가격 제한폭이라고 합니다.
이 범위까지 오르고 내리는 것을 상한가, 하한가라고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1998년 12월부터 거래소 종목은 기준가격(전일종가) 대비 상하로 15% 코스닥 종목은 상하 12%의 가격 제한복(일일변동폭)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가격제한폭제도로 인하여 코스닥지당과 증권거래소의 주가는 가각 전일 종가대비하여 15%를 초과하여 변동 할 수는 없습니다.
제3시장(장외주식호가중개시스템)에서는 가격제한폭이 없었으나 2002년 9월 말부터 상하 50%의 가격 제한폭이 도입되었습니다.
가격제한폭은 일반적으로 전일종가에서 일정비율을 곱하여서 산출하며 호가는 가격제한폭 범위내의 가격으로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상한가는 기준가격에서 가격제한폭을 더한 가격을 말하고 있으며 일별로 하락할 수 있는 최저가격에서 가격 제한폭을 뺀 가격을 말합니다.
가격제한폭이란?
급격한 주가 변동으로 인하여 혼란 방지를 위해서 전일종가를 기준으로 하루에 오르고 내릴 수 있는 최대한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정해서 놓은 것으로.. 주가가 가격제한폭까지 오르는 경우를 상한가, 가격제한폭까지 내려간 경우를 하한가라고 합니다.
증권시작 자본주의 체제에서 가장 대표적인 완전 경쟁시장이라 할 수도 있지만 매수는 또 다른 매수를 불러 일으키는 주가상승을 재촉하고 매도는 또 다른 매도를 촉발시켜서 주가 하락을 심화시키는 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제한시키는 어느정도 주가의 급등락을 완화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가격 폭 제한을 하게 되면 주가가 급등 할 때는 사자는 주문이 팔자는 주문을 초과하여 사자는 주문의 잔량이 높게 증가하게 되며 다음날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며 반대로 주가가 급락 할 때에는 매주 주문이 싸여서 매도 잔량이 크게 증가함으로 다음날에도 주가를 하락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변동가격상한가, 하한가제도란?
단기간에 주각 급등락에서의 주식거래시장 안정과 개인투자자 보호를 위해 도입된 가격제한 조치, 그리고 한국의 거래소는 주가 상승과 하락을 하루에 15%로 묶어 놓고 있습니다.
증시 전문가들은 코스닥 시장 일부 종목의 연속 상한가 랠리 등이 상한가,하한가 제도의 맹점에서는 기인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2007년 11월 중순에 증권선물거래소는 '국내 증시의 변동성이 많이 축소된만큼이나 상한가하한가 폭을 확대하거나 장기적으로는 페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감사합니다.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주식독학 과정 안내 (0) | 2017.09.19 |
---|---|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의 정의란? (0) | 2017.09.18 |
주식 초보자를 위한 코스닥과 코스닥지수란? (0) | 2017.09.12 |
증권거래세 신고기한 및 납부방법 알아보기 (0) | 2017.09.09 |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투자 비법 (0) | 2017.09.08 |